나무에 올라가 고기를 구하다. 맹자의 양혜왕 편에서 유래한 고사성어. 도저히 불가능한 일을 굳이 하겠다는 뜻입니다. "나무 인연하여 물고기를 구합니다.'라는 뜻입니다. 목적이나 수단이 일치하지 않아 성공이 불가능함. 또는 방만한 계략으로 큰일을 도모함.
1. 한자 풀이
- 연(인연 연) : 연(緣)이란 '인연' 또는 '연분'이라는 뜻을 가진 글자입니다. ' 緣 '자는 '糸'자와 ' 彖(판단할 단)'자가 결합된 모습입니다. '彖'자는 '豕(돼지시)'자가 변형된 것이지만 여기서는 '단→연'의 발음 역할만 합니다. 緣자는 사람 사이에 보이지 않는 '줄'을 나타내기 위해 쓴 글자입니다. 이것을 '인연'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연자는 선을 그리는 糸자를 응용한 것으로, 서로가 보이지 않는 끈을 연결한다는 의미에서 '인연' 또는 '연분'이라는 뜻이 됩니다.
- 목(나무 목): 木자는 나무의 뿌리와 가지가 함께 표현된 상형문자입니다. 땅에 뿌리를 내리고 가지를 뻗은 나무를 표현한 문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중·고교용 상용한자 중 목자를 부수적으로 쓴 글자가 많습니다. 철을 능숙하게 다루기 전에 쉽게 얻고 가공하기 쉬운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나무와 관련된 한자를 보면 그 시대를 살았던 사람들이 나무를 어떻게 활용하고 인식했는지 알 수 있습니다. 木자는 나무를 그리는 것이기 때문에 부수로 사용할 때 대부분 나무의 종류나 상태와 관련된 뜻을 전달합니다.
- 구(구할 구): 求자는 '구하다' 또는 '탐하다' 또는 '빌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입니다. 求 자는 水가 부수로 지정되어 있으나 '水'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습니다. 求자의 갑골문(甲骨文)을 보면 衣자에 획이 여러 개 그려져 있습니다. 이것은 모피를 표현한 것입니다. 그래서 '求'자의 본래 의미도 '모피옷'입니다. 고대 동물 가죽으로 만든 스웨터는 추운 겨울을 이겨낼 수 있는 옷으로 구하기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가격도 비쌉니다. 구자에서 말하는 '구', '탐', '청'은 값비싼 스웨터를 원하거나 원하는 것을 말합니다.
- 어(고기 어) : 魚자는 '물고기'를 그린 글자입니다. 魚자는 물고기를 그대로 그린 상형 문자입니다. 갑골문에 적힌 魚자를 보면 물고기의 주둥이와 지느러미가 잘 묘사되어 있습니다. 이후 해서에서는 물고기의 몸통과 꼬리를 밭 전(田) 자와 불 화(灬) 자로 표현하여 현재의 어(魚) 자가 만들어졌다고 합니다. 魚자는 물고기를 그린 것이기 때문에 부수 역할을 할 때 주로 어류의 종류, 부위 또는 특성과 관련된 의미를 전달합니다.
2. 한자성어 유래
주나라 신정왕 3년(BC318), 맹자는 조국을 떠나 제나라로 갔습니다. 50세가 넘었을 때였습니다. 동쪽의 제는 서쪽의 진, 남쪽의 초와 마찬가지로 전국의 제후들 중에서도 대국입니다.
선왕도 유능한 사람이라 맹자는 그에게 매우 매력적입니다. 그러나 시대가 요구하는 것은 맹자가 말하는 왕도정치가 아니라 부국강병, 외교상의 책략, 원교근공책, 합종책, 연횡책입니다. 선왕의 가장 큰 관심사는 중국의 통일입니다. 맹자와 선왕은 이렇게 문답을 했습니다.
"왕께서는 전쟁을 일으켜 신하의 생명을 위태롭게 하고, 이웃나라 제후들과 원수를 맺는 것을 좋아하십니까?" "내게는 대망이 있기 때문입니다" "임금님의 대망에 대해 말씀해 주십시오." 인의와 왕도정치를 논하는 맹자에게 선왕이 선뜻 대답하지 못합니다. 맹자는 선왕을 떠보기 시작했습니다. "전쟁의 목적은 의식(衣食)에 있습니까, 인생의 오락 때문입니까?" "아니요, 나의 욕망은 그런 게 아닙니다."선왕께서는 맹자의 교묘한 말솜씨에 걸렸습니다. 맹자는 힘차게 말했습니다.
"그렇다면 이미 다 알고 있습니다. 영토를 확장하여 진과 초와 같은 대국이 허리를 굽히게 하고, 중국 전토를 지배하고 사방의 오랑캐를 따르도록 하고 싶으신 거겠지요. 그러나 일방적인 무력으로 이런 것을 얻으려는 것은 연목구어처럼 목적과 수단이 맞지 않는 것은 불가능합니다."그렇게 어렵습니까?"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정성을 다해도 결국 백성을 괴롭히고 나라를 망치는 큰 재앙을 당하게 될 것이며, 결코 좋은 결과를 얻지 못할 것입니다." "선왕은 귀 기울이며 맹자의 설교를 들었습니다. 맹자는 이렇게 교묘하게 대화의 주도권을 얻어 인의를 바탕으로 한 왕도의 정치론을 당당히 설명했습니다.
3. 예문
1) 실업자가 늘어나는 상황에서 소비 심리가 개선되기를 바라는 것은 연목구어나 다름없습니다.
2) 그는 "금융시장의 안정 없이는 어떤 금융혁신이나 포용금융도 연목구어"라며 "시장 변동성이 과도하게 확대될 때 필요한 조치를 적기에 시행할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3) 선생님은 학생들에게 항상 연목구어가 아닌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라고 강조하셨다.
4) 나는 연목구어인 상태로 여행을 가게 되어 주변의 핫플레이스를 뒤늦게 알았다.
5) 그 정치가가 올바른 길을 바라볼 수 있도록 기대하는 것은 연목구어이다.
6) 아무런 노력 없이 부자가 되려고 하는 것은 연목구어라고 할 수밖에 없다.
7) 어느새 보통명사가 된 '수포자' 문제조차 해결하지 못한 정부에 대안을 기대하는 건 연목구어일지도 모른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