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28 황홀한 OST로 기억되는 뮤직 로맨스 영화 '라라랜드' 목차 1. 라라랜드는 무슨 뜻 영화의 제목이 되는 'La La Land'는 원래 '몽상의 세계', '꿈의 세계'의 뜻을 지닌 단어이다. 그러나 약간의 부정적인 뉘앙스도 가지고 있다. 'Live in La La Land'라는 관용구 문장은 해석 그래도 꿈속에서 산다. 말인즉 '사리분별을 못하는 성격이다'라는 뜻이 내포되어 있다. '비현실적 세계'라고 해도 될 것 같다. 어쩌면 영화의 제목에서도 알 수 있듯이 영화의 결말이 이루어지지 못한 꿈, 이루어지지 못한 사랑으로 결말지어지는 것은 아닐까 먼저 생각해 본다. 그러나 영화에서는 La 때문에 로스앤젤레스(LA)가 연상되고 LA에 있는 할리우드의 단어와 연관되어 불린다. 영화에서는 '라라랜드'를 꿈을 꾸는 사람들을 위한 도시라고 이해하면 더욱 낭만적일 것 같.. 2023. 1. 15. 이정재 배우의 첫 감독 연출작 영화 '헌트' 목차 1. 영화 보기에 앞서서 영화 '헌트'의 예정 영화명은 '남산'이었습니다. 1980년대 제5공화국을 배경으로 하고 있습니다. 외교마찰까지 일어났던 동백림 사건, 광주민주화운동, 북한군 이웅편 귀순사건, 아웅산테러 등 현대사의 굵직 한 사건들을 배경으로 합니다. 각기 다른 시긴에 벌어졌던 사건들을 하나의 흐름으로 옮겨와 영화의 소재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영화를 진행속도가 생각보다 빠르기 때문에 현대사의 역사적 사건의 배경지식이 조금 있다면 배우들의 감정선을 이해하기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2. 영화 촬영지가 전부 국내 영화 속에서 숨 막히는 도심 총격전이 벌어졌던 도쿄 거리가 다름 아닌 부산 초량동 뒷골목? 또한 '버마 아웅산 폭탄 테러 사건'을 모티브로 한 장면을 연출하기 위해 태국의 한 묘역같이 .. 2023. 1. 14. 영화 '유령' 미리 알아두면 쓸모 있는 관전포인트 몇가지 목차 1.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영화 '유령'은 중국 소설가 마이 지아(Mai Jia)의 추리소설 을 영화로 각색한 작품으로, 영화 '독전(2018)'을 연출했던 이해영 감독이 메가폰을 잡았다. 소설 은 이미 지난 2009년 '바람의 소리'라는 제목으로 중국 국내에서 개봉하여 중국 박스오피스 7주 연속 '1위'를 기록하며 항일영화를 좋아하는 중국 관람객들의 큰 사랑을 받았다. 특히 영화 '유령'을 준비할 당시 이해영 감독은 영화 , 의 촬영지로 사용됐던 중국 상하이 세트장을 방문하여, 세트장 곳곳의 분위기에 맞춰 시나리오를 집필하였다. 그러나 코로나 팬데믹으로 중국길이 막히자, 결국 영화의 시대적 배경인 1933년의 '경성'을 한국 내에서 창조해 낼 수밖에 없었다고 한다. 중국과 한국은 비슷한 시기에 제국.. 2023. 1. 14. 이전 1 ··· 43 44 45 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