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도약계좌란 청년이 내는 돈과 정부가 지원하는 돈을 합쳐 월 최대 70만 원(최대 월 40만 원)을 연리 3.5%로 저축해 10년 뒤 1억 원을 받을 수 있는 '1억 원 만들기 통장'으로, 소득이 낮을수록 청년의 납입액이 많을수록 정부 지원액이 늘어나는 정책금융상품을 말합니다.
1. 청년도약계좌 도입 역사
초기에는 최대 금액 납입 시 10년간 1억 원을 모을 수 있도록 설계됐지만, 이후 매달 70만 원 납입 시 5년간 최대 5000만 원을 모을 수 있습니다. 단순 정부지원금으로 계산할 경우 최대 4,800만 원(월 40만 ×10년)에서 최대 252만 원(월 최대금액 납부 시 3~6% 적용)으로 수정됩니다. 70만 원 ×12개월 ×5년=4200만 원을 예금하면 5000만 원을 돌려주는 겁니다.
2023년 예산안에 공식 도입된 청년도약계좌는 자산가격 상승 등으로 생활·주거안정에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의 중장기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마련된 상품입니다. 청년이 월 40만~70만 원을 납입하면 최대 2만 4000원(40만 원의 6%)을 매칭해 지원하고 이자소득 등 비과세 혜택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그동안 연소득 2400만 원 이하 청년이 월 40만 원을 납부하면 월 최대 40만 원을 정부로부터 지원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됐지만, 이 지원금만 단순 계산하면 정부가 지급하는 기여금은 월 2만 4000원으로 크게 줄어들게 됩니다. 이 경우 가입자가 월 70만 원을 납입할 경우 은행별로 향후 제공하는 금리 수준 등에 따라 다르지만, 5년 만기 시에는 5000만 원 가까운 목돈이 조성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3년 6월 14일, 상장 전날, 취급 은행의 최고 연이율은 6%로 통일되었으며, 5대 상업 은행의 기본 금리는 4.5%로 인상되었습니다.
2024년 1월 23일, 청년희망예금 연계 상품을 발표하였으며, 1월 25일부터 2월 2일까지 연계 신청을 받습니다
2. 청년도약계좌 흥행 및 평가
언론 보도에 따르면 첫 주에 76만 명이 넘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2022년 2월 21일 출시된 청년희망예금이 첫 주에만 200만 명(최종가입자 290만 명)을 끌어모은 것과 비교하면 5배가량 차이가 납니다. 서버 붕괴 같은 이슈는 당연히 없습니다.
그런데 청년희망예금과 청년도약계좌를 동시에 가입하지 못하고 청년희망예금을 해지하고 청년도약계좌로 이체하는 것은 매우 어리석은 행동입니다. 저축에 대한 열정이 높은 청년 중 상당수가 이미 청년희망예금에 묶여 있는 셈입니다. 따라서 청년희망적금 만기가 도래할 상황은 아니지만 가입자 수만으로 비교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정확한 비교를 위해서는 크게 두 가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첫째, 2024년 2월에 200만 명의 청년희망예금이 만기 되는데, 이때 만기된 인원이 2024년 3월에 청년약진계좌에 다시 가입할지 여부입니다. 둘째, 청년희망예금의 중도해지율도 25% [70만 명]에 달하기 때문에 각각 2년 이내 중도해지율과 청년도약계좌 5년 이내 중도해지율과 예금담보대출률과 비교해야 합니다.
결국 청년희망적금 만기 200만 명 중 4분의 1도 조차도 안 되는 인원이 재가입하면서, 당초 예상한 300만은커녕 출시된 지 1년이 넘은 현재 청년희망적금 첫 주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습니다.
예금자 입장에서는 정부지원예금이라 가입이 가능하다면 가입이 가능하지만 2023년 6월 첫 출시 후 평가에서는 초기 중도해지 보완사항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60개월이라는 장기 주장으로 흥행 실패요인이 돼 금리가 횡보하거나 하락할 것으로 예상될 때 나오는 상품으로 3년 후 예금금리가 하락할 위험이 큽니다. 그리고 언론 홍보로 많이 가입했지만 청년희망적금과의 차별화 실패 및 가입자 수 차이 5배 등의 문제로 사실상 흥행에 참패했습니다.
3. 청년희망적금과 비교
구분 | 청년희망적금 | 청년도약계좌 | 비고 |
가입연령 | 19세 ~ 34세 | ||
가입소득 | 3,600만원 이하 | 7,500만원 이하 | |
가구소득 | 미적용 | 중위소득 180% 이하 | |
납입 금액 | 월 최대 50만원 | 월 최대 70만원 | 자유납입식 |
만기 | 24개월 | 60개월 | |
금리 | 9.31% ~ 10.49% | 8.05% ~ 10.19% | |
정부지원금 | 2년 36만원 [1년차 12만원, 2년차 24만원] |
5년 0 ~ 144만원 (1년 최대 28.8만원) |
|
비과세 혜택 | 있음 | ||
담보대출 | 불가 (은행별로 일부 있음) |
가능 | |
특별중도해약 | 불가 | 가능 |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LCC(저비용항공사)의 역사와 국내 LCC 시장 (1) | 2025.01.21 |
---|---|
산재보험의 역사와 산재보험의 종류 (0) | 2025.01.20 |
2025년 태안설날장사씨름대회 대회 요강 (0) | 2025.01.14 |
국민연금 개념, 역사, 종류 및 연금계산공식 (0) | 2025.01.14 |
미국 탄핵 절차 및 탄핵 소추된 역대 대통령 (0) | 2025.01.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