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추석 연휴를 통해 지역 관광을 활성화할 계획입니다.
추석 연휴(10월 4일부터 7일까지) 동안 모든 고속도로 통행료가 4일 동안 면제됩니다. 2일부터 12일까지 인구 감소 지역의 철도 여행 상품은 50%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정부는 현재 50% 할인에서 10월 4일부터 8일까지 국내선 항공편을 이용하는 다자녀와 장애가족의 공항 주차요금 완전 면제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같은 기간 동안 국가에서 운영하는 연안 여객 터미널의 주차 요금도 무료입니다.
관광지도 무료로 개방됩니다. 국가유산과 국가식물원은 10월 3일부터 9일까지 무료로 개방됩니다. 관광객은 5월 5일부터 8일까지 박물관에 입장할 수 있으며, 10월 6일부터 9일까지 국가 자연 휴양림에 입장할 수 있습니다.
명절 연휴 동안 무료로 개방되는 문화시설에 대한 정보는 네이버지도와 카카오맵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정부는 특별 재난 지역의 31개 숙박 시설에서 사용할 수 있는 15만 장의 쿠폰을 발급할 것입니다. 70,000원 이상 숙박상품은 50,000원 할인, 30,000원 이하 숙박상품은 할인됩니다.
가을 여행자 행사는 9월 16일부터 11월 30일까지 열리며, 교통, 숙박 및 여행 상품을 최대 50% 할인 제공합니다. 무려 63만 명이 해당됩니다.
1. 추석 성수품 물가 안정
▶ 공급확대
21대 성수기 공급량 사상 최대 17.2만 톤(평시 1.6배)
*농산물 : 배추 3.5배, 사과 3.4배, 배 3.5배, 단감 3.7배, 마늘 5.1배
축산물 : 소 1.5배
수산물: 황태 2.4배, 고등어 2.6배
임산물 : 밤 4.3배, 대추 18.3배
▶ 할인지원
농축수산물 할인 지원 사상 최대
성수품 최대 50% 할인(온·오프라인, 전통시장)
▶ 선물 세트
성수기 선물세트 최대 50% 할인 판매*
*중소과 사과·배 15만 개, 10만 원 이하 한우 162t 등 실속 있는 선물세트 공급 확대
▶ 재래시장
(24년 167→ 25년 370억 원)
온누리상품권 현장 환급 규모 및 참여 시장 대폭 확대
(농축산물 120→200개, 수산물 114→200개)
▶ 할당관세
감자(감자칩용), 냉동과일 등 6가지 식품원료*첨가 (연말까지 총 27가지)
*(기존) 계란가공품, 커피생두, 카카오가공품 등 21종
+(추가) 감자(감자칩용), 냉동딸기, 기타 냉동과일, 사과농축액, 해바라기유, 기타 조제과일 6종
2. 민생부담 경감
▶ 서민금융
추석 전후 서민금융 1,145억 원 공급(9.5~11.5, 2개월 기간)
*햇살론 청년 400억, 불법 사금융 예방 200억, 최저신용자 담보대출 545억
▶ 체불임금
임금 체불 청산 및 근로자 생계 지원
→ 연체대출 청산△0.5~1.0% p
일시금리인하*시행(~10.14. )
*1) 사업자금융금리(%) : (신용) 3.7→2.7 (보증) 2.2→1.2, 2) 근로자금융금리(%):1.5→1.0
▶ 생활비
식비, 의료, 에너지, 주거비 등 핵심 생활비 절감
- 식비 : 취약계층 대상 정부식량공급가격 20% 추가 할인(1만 원→8,000원/10KG, 10~12월)
- 의료 : 재난적 의료비 지원 600억 원 확대(1404→2004억 원)
- 에너지 : 에너지바우처 지원대상 다자녀 기초생활수급자 가구로 조기 확대 ("26년 여름부터→"25.12부터)
▶ 장애인
근로지원인*(1.1→1만 1400명), 중증장애인 출퇴근 비용 지원(1.3→1만 5000명) 확대
*중증장애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주 40시간, 1일 8시간 부대업무 수행을 지원합니다.
■ 추석 민생안정대책 ② 민생부담 경감[소상공인·중소기업]
▶ 명절자금(대출, 보증)
명절 공급량 사상 최대인 43조 2000억 원
▶ 성수품 구매대금
전통시장 상인 성수품 총 구매금액 50억 원 저리대출(상인당 최대 2억 원, 점포당 최대 1,000만 원)
▶ 외식
공공배달앱 쿠폰 지급기준 완화*(10.1~), 외식업 외국인근로자 고용허가(E-9 비자) 요건(업종, 고용인원 등) 완화 검토 등 외식 소상공인 비용 경감
*(현) 2만 원 이상 2회 결제 시 1만 원 할인→(변경) 2만 원 이상 결제 시 5,000원 즉시 할인
▶ 애로해소
보험료, 세척, 공공계약, 하도급 등 분야별 애로사항 신속 해결
- 보험료 : 영세사업장(정규직 30인 미만) 고용·산재보험료 납부유예(10~12월)
- 세정 : 경영위기 소상공인, 수출중소기업 부가가치세·관세 조기 환급, 법인세 납부유예
- 공공계약 : 추석 전 공공계약 대금 조기 지급, 납품기한은 추석연휴 시 연장
- 하도급 : 불공정 하도급 신고센터 운영(8.14~10.2. ) → 하도급 분쟁의 신속한 해결
- 비축물자: 추석 전후(9.17. ~ 10.14.) 원자재 등 비축물자 배급 한도 20% 확대
3. 지방 중심 내수 활성화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9.22~), 상생 캐시백** 차질 없이 실시
*사용처(현역 군인 복무지 인근, 연매출 30억 원 초과 지역생활협회), 신청절차 간소화(주민센터 방문 시 신청서 생략)
**9.15. 신청 시작, 10.15. 결제개시/24년 12개월 평균 대비 올해 9~11월 신용카드 사용액 증가 시 월 10만 원 환급
▶ 대규모 합동 세일페스타 개최(10.29. ~ 11.9. )
· 추석 연휴 계기 소비 열기 붐업
(지역관광)
특별재난지역 편 숙박쿠폰 15만 장(최대 5만 원) 발행, 중소기업 근로자 휴가 지원 확대(15→최대 17만 명).
9~11월 역대 최대 '여행 가는 가을' 이벤트(63만 명 할인, 여행상품 최대 50% 할인)
(지역소비)
지역사랑상품권 10조 원 발행 및 할인율 상향(9월~5~10%→7~15%, 특별재난지역+5% p)
상생 자매결연 확대, 관광, 교류, 기관별 행사, 특산물 구매 촉진
*50개 중앙행정기관과 141개 지자체, 85개 공공기관과 78개 지자체 자매결연
(문화쿠폰)
전시·공연쿠폰 1인당 총 1회 → 주 1회, 발급 횟수 확대 및 비수도권 전용 공연·전시쿠폰 할인액 *인상
*(공연예술)장당 1만 원→1만 5000원, (미술전시)장당 3000원→5000원
(교통편의)
4일 이내(10.4. ~10.7) 고속도로 통행료 면제, 인구감소지역 철도여행상품 50% 할인, 국내선 공항(다자녀, 장애인 가정) 및 터미널 주차장 이용료 면제
4. 국민 안전
· 응급대응
24시간 상황관리체계 운영, 택배종사자, 전기차 안전, 식품위생 등 집중 점검
· 산업 재해
산재예방 안전시설 설치·교체 융자 지원 한도 상향(10→15억 원)
· 재해 복구
7월 집중호우 피해지역 재난지원금 1855억 신속집행(지자체)
· 보호 서비스
추석 전후 노인·노숙인·결식아동 보호서비스 지속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역모자의료센터 10곳 선정, 24시간 신생아 분만 진료 가능 (0) | 2025.08.27 |
---|---|
국내외 가상화폐 거래소 순위 (4) | 2025.08.14 |
구제역 특징, 증상 및 치료법 (0) | 2025.03.18 |
상병보상연금 정의, 감액적용, 중증요상상태등급표 (0) | 2025.03.12 |
양도성 예금증서(CD) 정의 및 발행과정 (0) | 2025.03.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