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정보195 2023년 10대 트렌드 키워드 '평균실종' 김난도 교수의 2023년 10대 트렌드 키워드 RABBIT JUMP! R:평균실종(Redistribution of the Average) 평균실종이라는 단어는 대푯값 중의 하나인 평균이 그 자체의 오류와 함께 모집단 특성의 급격한 변화로 제 역할을 하지 못한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빠른 경제성장을 이뤄나가며 대량생산과 소비가 보편화되었고, 일률적이고 통일적인 교육체계가 확립되면서 동질의 집단 내에서 평균점수, 평균나이, 평균소득 등에 종속되어 왔다. 그리고 그 평균이라는 단어가 기준점이 되어 생존해 왔다. 그러나 현재 경제·사회·정치·문화 모든 방면에서의 분포도는 중간이 사라진 시대가 도래했다. 2023년 대한민국은 양극화 현상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목차 평균실종의 시대 부동산 시장 평균.. 2023. 2. 13. 2023년 문화누리카드(통합문화이용권) 신청방법 문화누리카드(통합문화이용권) 사업이란 국민의 문화 향유권리 보장과 소득 간 문화격차 완화라는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기 위하여 기획재정부 복권위원회의 복권기금을 지원받아 추진하는 공익사업을 말합니다. 목차 2월 1일부터 2023년 문화누리카드 발급(신규/재충전)이 시작되었습니다. 자동 재충전이 되지 않으셨더라도 발급자격에 해당될 경우, 가까운 주민센터, 문화누리카드 누리집, 모바일앱에서 문화누리카드 발급/재발급/재충전이 가능합니다. 1. 사업내용 1) 지원대상 : 6세 이상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2017. 12. 31. 이전 출생자) ※ 지난해 수혜자 중 요건을 만족하는 경우 별도 신청 없이 지원금 자동 충전 2) 지원내용 : 전국 문화·예술·여행·체육 관련 가맹점에서 이용 가능한 '문화누리카드' 발.. 2023. 2. 10. 근로·자녀장려금 자격요건, 신청방법, 지원내용 근로·자녀장려금은 저소득계층의 빈곤 탈출을 지원하고 사회안전망을 확충하기 위해 도입되었으며, 근로소득, 사업소득 또는 종교인소득에 따라 산정된다. 근로장려금은 국가가 저소득 근로자 또는 사업자 가구에 대해 소득에 따라 산정된 장려금을 지원해 주는 근로연계형 소득지원제도로 2009년부터 실시됐다. 한편 2019년부터는 소득지원의 체감도를 높이기 위해 근로소득자에 한해 반기별 소득을 기준으로 근로장려금을 반기별로 신청·지급할 수 있는 제도가 도입되었다. 이에 따르면 상반기 소득분에 대해서는 9월에 신청해 12월에 지급하고, 하반기 소득분에 대해서는 3월 신청해 6월에 정산하여 지급한다. 근로소득자는 종전 정기신청방식과 반기신청방식 중에 선택해 신청이 가능하며 반기신청을 하지 못한 경우에는 다음 해 5월 정기.. 2023. 2. 10. 치매 치료관리비 지원사업 신청방법 보건복지부에서는 치매를 조기에 지속적으로 치료, 관리함으로써 치매증상을 호전시키고 증상 심화를 방지하여 노후 삶의 질 제고 및 사회경제적 비용절감에 기여하고자 치매 치료관리비 지원사업을 시행 및 지원하고 있다. 목차 1. 치매치료관리비 지원사업이란? 치매치료관리비 지원사업은 지역사회의 치매 돌봄 강화와 치매환자 가족의 경제적 부양부담 경감을 위해 치매치료관리비 보험급여분 중 치매약제비와 진료비 본인부담금(비급여항목 제외)을 월 3만 원(연 36만 원) 한도 이내 실비 지급하는 제도이다. 이로써 치매 어르신과 초로기치매진단자가 치매를 조기에 발견하고, 지속적으로 치료·관리함으로써 치매증상을 효과적으로 호전시키거나 증상 심화를 예방하여 삶의 질 제고와 사회경제적 비용 절감할 수 있게 됐다. 2. 사업내용 1.. 2023. 2. 10. 자영업자·소상공인 대상 저금리 대환 프로그램 개편 자영업자·소상공인 대상 저금리 대환 프로그램은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자영업자·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시행되어 왔으나 앞으로 모든 자영업자·소상공인까지 그 대상이 확대됩니다. ◆ 전체 자영업자로 지원대상을 확대합니다. ◆ 대환 한도를 개인 1억 원, 법인 2억 원으로 확대합니다. ◆ 3년 거치 7년 분할 상환으로 상환 구조를 변경합니다. ◆ 보증료 부담을 완화합니다. ◆ 신청기한을 2024년 말로 1년 연장합니다. ☞ 온라인 대환 안내 시스템 ‘저금리로. kr’ 신용보증기금 (우)41068 대구광역시 동구 첨단로7(신서동) 신용보증기금 Copyright (c)korea credit guarantee fund. all right reserved www.kodit.co.kr 1. 지원대상 및 신청기한 .. 2023. 2. 7. 이전 1 ··· 33 34 35 36 37 38 39 다음